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보처리기사 실기 모의고사 오답 (5, 6)

by Killing_me__ 2021. 7. 8.
반응형

1. SDDC(Software-Defined Data Center)
모든 하드웨어가 가상화되어 가상 자원의 풀을 구성하고 데이터센터 전체를 운영하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한 기능 및 규모에 따라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이터 센터

2. 장애 투명성
데이터베이스의 분산된 물리적 환경에서 특정 지역의 컴퓨터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해도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목표

3. NUR(Not Used Recently)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 참조 비트와 변형 비트가 사용되는 기법

4. Locality(지역성, 국부성)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주기억장치를 참조할 때 일부 페이지만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성질

5. 세그먼테이션 기법
가삭 기억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다양한 크기의 논리적인 단위로 나눈 후 주기억장치에서 적재시켜 실행시키는 기법, 내부 단편화는 발생하지 않으나 외부 단편화는 발생할 수 있는 기법

6. 커널(Kernel)
프로그램들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입출력 관리 등 컴퓨터 부팅 시 주기억장치에 적재되어 상주하면서 실행되는 것

7. Ruby on Rails
테스트를 위한 웹 서버를 지원하며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단순화, 자동화시켜 개발 코드의 길이가 짧아 신속한 개발이 가능한 서버 개발 프레임워크

8. MVC패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시각적 요소나 그 이면에서 실행되는 로직을 서로 영향 없이 쉽게 고칠 수 있는 패턴

9. PFF(Page Fault Frequency)
페이지 부재율의 상한과 하한을 정해 직접적으로 페이지 부재율을 예측하고 조절해서 페이지 교체 현상을 줄이는 기법

10. 시멘틱 웹
“의미론적인 웹” 이라는 뜻으로,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저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이해하기 쉬운 의미를 가진 차세대 지능형 웹

11. NAC(Network Access Control)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내부 PC의 MAC 주소를 IP 관리 시스템에 등록한 후 일괄된 보안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보안 솔루션

12.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쓰이는 용어로서, IP 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

13. 맵 리듀스
구글에서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분산 병렬 컴퓨팅에서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하여 2004년에 발표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14. 온톨로지
실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개념들과 개념들의 속성, 그리고 개념들 간의 관계 정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해 놓은 지식 베이스

15. SSH(Secure SHell)
RSH, RLogin, Telnet의 보안이 취약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로, 높은 안정성을 보장하며 포트번호 22번을 사용하는 원격 접속 프로토콜

16. OSI 7계층
물리계층 : 두 장비 간의 전송을 위한 연결이나 전달 등의 인터페이스의 기계적, 전기적, 절차적 특성을 정의하며 비트를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전송하는 계층
데이터링크계층 : 노드와 노드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위 계층이 물리 계층을 정상적인 상태로 인식할 수 있게 도와주는 계층
네트워크계층 : 패킷이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경로를 정하여 최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
전송계층 : 단말기 사이에서 오류 수정과 흐름제어, 혼잡제어를 수행하여 신뢰성 있고 세그먼트를 전달하는 계층
세션계층 : 응용 프로그램간의 연결을 성립하게 하고 연결이 안정되게 유지하며, 작업 완료 후 연결을 끊는 역할을 담당하는 계층
표현계층 : 데이터의 변환, 압축,  암호화를 담당하는 계층
응용계층 :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계층

17.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가 시스템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기본 단위

18. 병행 투명성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다수의 트랜잭션들이 동시에 실행되더라도 그 트랜잭션들의 수행 결과는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목표

19. 위치 투명성
접근하려는 데이터베이스의 실제 위치를 알 필요 없이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명칭만으로 접근할 수 있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목표

20. 중복 투명성
동일한 데이터가 여러 곳에 중복되어 있더라도 사용자는 마치 하나의 데이터만 존재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목표

21. 트리거
데이터베이스가 미리 정해놓은 조건이 충족되거나, 특정 테이블에 삽입, 삭제, 갱신 등의 데이터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DBMS에서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구현된 프로그램, 데이터 무결성 유지 및 로그 메시지 출력 등의 별도 처리를 위해 사용

22. DCL의 기능 세 가지
데이터 보안, 무결성 유지, 회복

23. 클러스터
데이터 저장 시 데이터 액세스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일한 성격의 데이터를 동일한 데이터 블록에 저장하는 물리적 저장 방법

24. NOFORCE
기본 테이블이 존재할 때 뷰를 생성하는 속성

25. WITH CHECK OPTION
서브쿼리 내의 조건을 만족하는 행만 변경하는 속성

26. 물리 데이터 모델링
논리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고자 하는 각 DBMS의 특성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 저장 구조로 변환하는 모델링 기법

27. 관계해석
코드가 수학의 Predicate Calculus에 기반을 두고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위해 제안한 언어, 원하는 정보가 무엇이라는 것만 정의하는 비절차적 특성을 가짐

28. 관계대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 언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