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보처리기사 실기 모의고사 11회

by Killing_me__ 2021. 7. 8.
반응형

1. 가상화 기반 네트워크 기술로 기존의 물리적, 논리적으로 존재하는 토폴로지 위에 또 다시 다른 필요에 의해 논리적인 토폴로지를 재구성하여 성능을 개선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는?
> 오버레이 네트워크(Overlay Network)

2. 소스코드파일을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제품 소프트웨어의 단위로 변환하는 과정은?
> 빌드

3. 어떤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공 기능 및 연계 정보는 무엇이며 어떤 기술 요소를 사용하는지를 파악하는 활동은?
> 현행 시스템 파악

4. 요구사항의 기술적 타당성 분석 결과에 대해 이해관계자들의 이견이 있는 경우 중재하여 합의를 도출해내는 사람은?
> PM(Project Manager)

5. 개발 과정 각 단계의 산출물을 검토, 평가, 조정, 처리 등 변화를 통제하는 시점의 기준은?
> 베이스라인(Baseline)

6. 사용자와의 상호작요 없이 일련의 작업들을 작업 단위로 묶어 정기적으로 반복 수행하거나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일괄 처리하는 프로그램은?
> 배치 프로그램

7. 네트워크의 분산된 정보를 표준화된 서비스 형태로 만들어 공유하는 기술로,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개념을 실현하는 대표적인 기술은?
> 웹 서비스(Web Service)

8. 설치를 통해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 하는 프로그램으로 Visual Basic, C#, Delphi 등으로 개발되어 사용되는 것은?
> Client Program

9. 서버는 통신을 위한 ( A )을 생성하여 포트를 할당하고, 클라이언트의 통신 요청 시 클라이언트와 연결하고 통신하는 방식이다. ( A ) 에 들어갈 단어는?
> 소켓

10. 이기종 시스템 및 컴포넌트 간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해 각 시스템의 교환되는 데이터 업무, 송수신 주체 등이 정의된 문서이자, 시스템 인터페이스 현황 파악을 위해 인터페이스 목록 및 각 인터페이스의 상세 데이터 명세, 각 기능의 세부 인터페이스 정보를 정의한 문서는?
> 인터페이스 설계서

11.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해 부하량, 접속자 파악 및 장애 진단 등을 목적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성능 모니터링 도구는?
> APM

12.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에서 의사소통 할 수 있도록 물리적, 가상의 매개체는?
> UI

13. 제품과 시스템, 서비스 등을 사용자가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느끼고 생각하는 총체적 경험은?
> UX

14-1.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전적으로 서버에서 책임지는 기술로, 서버에서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의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관리 및 실행하는 기술은?
> Thin Client

14-2. 소프트웨어 실행을 클라이언트에서 책임지는 기술로, 서버는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소프트웨어의 실행 코드를 스트림 형태로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클라이언트 PC의 자원을 이용하여 실행하는 기술은?
> Rich Client

15.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 변화를 사전에 예측하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계하는 방법으로 불확실성을 제거해나가려는 경영 전략의 한 방법은?
> 시나리오 플래닝

16. 사용자가 직접 제품을 사용하면서 미리 작성된 시나리오에 맞추어 과제를 수행한 후, 질문에 답하도록 하는 테스트이며, 현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진단방법은?
> 사용성 테스트

17-1. 디자인, 사용 방법 설명, 평가 등을 위해 와이어프레임보다 좀 더 실제 화면과 유사하게 만든 정적인 형태의 모형은?
> 목업

17-2. 소프트웨어의 설계 또는 성능, 구현 가능성, 운용 가능성을 평가하거나 요구사항 좀 더 잘 이해하고 결정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기능을 간략한 형태로 구현한 시제품으로 실제 구현된 것처럼 테스트가 가능한 동적인 형태의 모형은?
> 프로토타입

17-3. UI 화면 설계에서 이해관계자들과 화면 구성을 협의하거나 서비스의 간략한 흐름을 공유하기 위해 화면 단위의 레이아웃을 설계하는 작업은?
> 와이어 프레임

17-4. UI 화면 설계를 위해서 정책이나 프로세스 및 콘텐츠의 구성, 와이어 프레임 기능에 대한 정의, 데이터베이스의 연동 등 구축하는 서비스를 위한 대부분의 정보가 수록된 문서로서,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최종적으로 참고하는 설계 산출물은?
> 스토리보드

18. 커피 스크립트라고 하는 개발 언어를 사용하는 코드 기반의 프로토타이핑 도구로, 코드 기반으로 작동되어 실제 작업물과 흡사하게 작동하는 것은?
> 프레이머

19. 입력 데이터의 영역을 유사한 도메인별로 유효값/무효값을 그룹핑하여 대표값 테스트 케이스를 도출하여 테스트하는 기법은?
> 동등 분할 테스트

반응형

댓글